회복 탄력성 -김주환
에리히 프롬이 (사랑의 기술)에서 강조 하듯이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가 꼭 키우고 배워야 할 능력이며,마틴 셀리그만이 (진정한 행복)에서 강조 하듯이
'사랑 받을 수 있는 능력'도 행복과 긍정적 정서를 위해 꼭 필요한 능력이다.
이처럼 사랑하고 사랑 받을 수 있는 능력이 곧 대인관계 능력의 핵심이며, 이러한 능력을 키워야 사회적 연결성을 내면화하게 되어 강한 회복 탄력성을 지니게 된다.
소통은 기술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맺는 모든 관계의 기본은 대화, 즉 소통에 의해서 형성되고 유지된다.
소통능력이란 인간관게를 진지하게 맺고 오래도록 유지하는 능력이다.
사회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이나 명예와 권력을 얻는 사람들은 모두 타인을 설득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다.
소통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인간성좋고 왠지 같이 있고 싶고,호감이 가고, 같이 일하고 싶은 그런 사람이다.
소통 능력에는 감정이입과 상대방에 대한 배려능력, 감정지능, 사교적 지능이 다 포함되기 때문이다.
말은 청산유수로 잘 하지만, 왠지 친해지고 싶지 않은 사람은 소통 능력이 오히려 낮은 사람이다.
원래 소통,즉 커뮤니케이션이란 말의 어원은 라틴어communicare이다. 이말은 '공유한다' 또는'함께 나눈다'는 뜻이다.
공통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것이 곧 소통이다.
공감의 원리를 이해하고 경청을 훈련한다.
성공적인 소통의 핵심은 말을 잘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잘 듣는데 있다. 긍정적이고 환한 표정이라도 짓도록 해야 한다.
억지로라도 웃어야 한다. 밝은 표정은 짓는 것만으로도 공감능력이 상당 부분 향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깊고 넓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라(자아 활장력)
고트만 교수의 연구결과 이혼에 이르게 되는 가장 결정적인 부정적 감정 표현은 경멸과 냉소다.
안정적 사랑- 이성과 친해지는 상황을 자연스레 받아 들이며, 결혼에 대한 만족도도 가장크다.
안정적 사랑을 닮아 가도록 노력하는 것이 서로의 행복을 위해서 핑요하다.
'나마스테'는 '기금 여기의 당신을 존중하고 사랑한다'는 뜻이다. 자아 확장력이 뛰어난 사람은 주변사람들에게 이 '나마스떼'를 실천하는 사람들이다.
좋은 인간이 된다는 것은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내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 하나하나가 성공적이라면 내 삶 자체가 성공적 일 수 밖에 없다.
내 삶 자체가 내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의 총합이기 때문이다.
논어의 교훈
1. 인간관게에 대해 잘 배우고 그것을 적절히 실천하면 행복해 진다는 뜻이다.
2. 멀리서 찾아오는 친구가 있으니 또한 즐겁다.
반대편에 서 있던 친구나 적대적인 친구도 나를 찾아 오는 일이 생기니 즐겁다는 뜻이다.
3. 다른 사람들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화내거나 부정적 감정에 휩싸이지 않아야 군자라는 뜻이다.
즉 친구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와도 잘 지내는 것이 군자다. 그러므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강조했다.
기쁨, 즐거움, 화내지 않음 같은 긍정적 정서다.
긍정적 뇌로 변화 시켜라.
감사하기- 마음의 좋은 습관
운동하기-몸에 좋은 습관